칠순의 할머니가 스무 살의 어린 아가씨로 변신하며 벌어지는 이야기이다. 스무 살의 전성기를 누려보지 못한 할머니가 화통한 스무 살이 되기로 마음먹고 즐기기로 한다. 2014년 새해에 개봉된 한국영화로 연출은 황동혁이 맡았다. 최화정과 유세윤의 특별출연으로 웃음의 요소와 이야기가 더욱 풍성해졌다는 평이다.
수상한 그녀의 변신이야기
아들자랑이 유일한 낙인 칠순할머니 오말순은 오래전부터 알고 지내던 박 씨와 노인카페에서 일을 한다. 노인카페는 아들이 구청장에게 건의하여 세워진 곳이다. 오말순의 남편은 해외에서 일하다 사고로 돌아오지 못했다. 며느리는 폐경기에 우울증을 앓고 있는 상태이다. 며느리는 아들의 문제로 오말순과 다투고 쓰러져 병원에 입원하게 되고 딸은 이 모든 것이 할머니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할머니를 요양원에 보내자고 해버린다. 이 말을 들은 오말순은 우울해지고 밤거리를 방황하게 된다. 그렇게 사진관 앞에서 발걸음을 멈추고 그곳에 걸려있는 오드리헵번의 사진을 보고 나도 영정사진을 찍어야겠다고 생각한다. 그렇게 청춘사진관으로 들어가게 된 오말순은 50년은 젊게 찍어드리겠다는 사진사의 말에 고맙다며 사진을 찍는다. 그런데 그건 말로만 그런 것이 아닌 실제로 50년 전의 모습으로 돌아가게 된다. 처음에는 내가 헛것이 보이는 거라고 마음을 진정시키고자 약을 사 먹어 보지만 진짜로 오말순은 20대가 되었다. 내가 이대로 가기는 아까워 하느님이 나에게 선물을 주셨다고 생각하고 이 순간은 마음껏 즐기기로 한다. 파마머리도 오드리헵번처럼 스타일을 바꾸고 낡은 할머니의 옷에서 화려한 블라우스로 갈아입는다. 그렇게 박 씨의 집으로 하숙을 들어가게 된다. 박 씨의 딸은 오말순에게 이름을 묻고 얼떨결에 오두리라고 대답한다. 박 씨를 따라 노인카페로 가게 된 오두리는 그곳에서 노래를 부르게 되고 노래실력이 출중하다. 그곳에 있던 사람들에게 찬사를 받았고 보컬과 트러블이 생긴 밴드에게서 보컬을 제안받는다. 그렇게 오두리는 밴드를 같이 하기로 한다. 오두리의 제안으로 대중적인 음악에 더 비중을 두게 된다. 밴드는 길거리 공연도 하고 음악프로그램의 신인 소개코너에 소개되게 된다. 한편 사라진 오말순을 찾아 나선 박 씨와 아들은 오말순의 통장에서 돈을 사용하는 사람이 있는 걸 확인하고 나쁜 사람에게 잡혀간 거 같다는 추측을 하게 된다. CCTV에 찍힌 오두리가 오말순을 데리고 갔다고 착각하게 되고 결정적으로 오두리의 짐에서 오말순의 틀니를 발견하게 된다. 박 씨는 오두리를 다그치자 오두리는 나를 못 알아보겠냐고 하고 그렇게 박 씨는 오말순이 오두리라는 걸 알게 된다. 밴드멤버들과 성공적인 첫 무대를 기념하기 위해 수영장에 놀러 가게 되는데 그곳에서 오두리는 다리에 상처를 입게 되고 상처가 난부 위에 노화가 시작된다. 한편 밴드멤버인 반지하가 큰 사고를 당해 수혈을 해야 하는데 희귀 혈액형이라 같은 혈액형을 구하는 게 관건이었다. 마침 오두리의 혈액형과 일치해 자기가 수혈을 하겠다고 나서지만 수혈을 하게 되면 오두리는 다시 오말순으로 돌아가게 되는 것이다. 박 씨는 그렇게 좋아했는데 하지 말라고 말렸지만 오두리는 해야 할 일일 하는 것이라고 내 손자는 내가 살리겠다면서 그렇게 수혈을 한다. 반지하는 오말순의 손자였다. 그로부터 1년 후 오말순의 수혈로 살아난 반지하는 다시 밴드생활을 하게 된다. 말순과 아들 며느리는 같이 공연을 관람하게 된다. 재미나고 좋은 꿈을 꾸었다고 오말순은 혼잣말을 한다. 한편 박 씨도 청춘사진관에 가게 되고 사진을 찍어 젊어지게 되는데 그 모습을 본 오말순은 빨리 헌혈해서 원래모습으로 돌아오라고 하며 영화는 막을 내린다.
국민 코미디 흥행
겨울왕국의 개봉일과 맞물려 1주일 동안 2위를 차치했다. 하지만 1월 말에 박스오피스 1위를 차지하는 영광을 안게 된다. 설날연휴엔 관람객이 몰랐고 400만에 가까워지기도 했다. 누적관객수는 700만 원 넘어섰고 심은경 배우는 세작품 연속 700만을 이루는 쾌거를 거둔다. 무난한 명절용 코미디 영화로 배우들의 연기력에 호평이 많았다. 다음이나 네이버 평점은 9점대이다. 황동혁의 작품 중 가볍게 볼 수 있는 유일한 코미디 영화라고 평가받고 있다.
리메이크의 행진
이 영화는 한국을 포함한 총 8개의 나라에서 제작을 하였는데 이러한 방식은 글로벌적으로 한 번도 시도되지 않았던 새로운 방식이라고 한다. 한국어 원판 이후에 제작된 리메이크작은 중국(2015) 다시 스무 살, 베트남(2015) 수상한 그녀, 일본(2016) 한국의 원판을 직역한 수상한 그녀, 태국(2016), 인도네시아(2017), 필리핀(2018), 인도(2019)가 있다.
댓글0